MGM 마카오 카지노
붉은 비단에 수놓은 원앙·꽃…RM이 보존 처리 도운 '활옷' 공개
붉은 비단에 수놓은 원앙·꽃…RM이 보존 처리 도운 '활옷' 공개
8월에 피는 잇꽃(紅花·홍화)으로 수십 번 염색하며 얻은 대홍(大紅)색은 붉은빛이 진하다.
진홍(眞紅), 목홍(木紅), 토홍(土紅) 등 다른 색보다 붉고, 색을 내기도 힘들다.
조선시대에는 이처럼 귀하게 얻은 붉은 비단 위에 봉황, 원앙, 꽃 등 갖가지 문양을 수놓고 금박으로 화려하게 장식했다. 혼례의 주인공에게 허락된 붉은 활옷이다.
조선 왕실의 여성들이 입은 '웨딩드레스' 활옷을 조명한 전시가 열린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이달 15일부터 조선시대 활옷과 관련 유물 총 110여 점을 한자리에 모은 특별전 '활옷 만개(滿開) - 조선 왕실 여성 혼례복'을 선보인다고 13일 밝혔다.
활옷은 우리 고유 복식의 전통을 이은 긴 겉옷이다.
조선 왕실에서는 길이가 긴 홍색 옷이라는 뜻에서 '홍장삼'(紅長衫)으로 기록했는데, 훗날 왕실을 넘어 민간에서도 혼례를 올릴 때 신부가 입는 예복으로 자리 잡았다.
박물관 관계자는 "사치를 배격했던 조선시대에 유일하게 화려한 자수와 진한 붉은 빛의 대홍 염색, 아름다운 금박 기법 등이 허용된 옷이 바로 활옷"이라고 설명했다.
전시는 조선시대 왕실 혼례와 활옷을 이야기로 풀어낸다.
공주의 혼례는 나라의 경사인 가례(嘉禮)에 속해 국가적 행사로 치렀으나, 왕이나 왕세자 혼례와는 달리 일부 절차를 줄이고 착용하는 옷, 물품 등도 달리했다.
왕실 혼례에 관한 내용을 정리한 '국혼정례'(國婚定例), 순조(재위 1800∼1834)의 셋째 딸 덕온공주(1822∼1844)의 혼례 과정과 혼수품을 기록한 문헌 등이 공개된다.
전시의 핵심은 붉은빛에 화려한 장식이 돋보이는 활옷 9점이다.
순조의 둘째 딸 복온공주(1818∼1832)가 입었던 활옷을 비롯해 미국 필드 박물관, 브루클린 박물관, 클리블랜드 미술관 등이 소장한 활옷이 관람객을 맞는다.
그중에서도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LACMA)의 활옷은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리더 RM(본명 김남준)의 도움으로 보존 처리를 완료한 유물이라 눈여겨볼 만하다.
앞서 RM은 국외에 있는 우리 문화유산의 보존·복원 및 활용을 위해 써달라며 2021년과 2022년 국외소재문화재재단에 각각 1억원을 기부한 바 있다.
연꽃, 모란, 봉황, 백로, 나비 등 부부의 해로와 행복을 비는 여러 무늬를 화려하게 수놓은 이 활옷은 미국으로 돌려보내기 전 국내에서 처음 공개하는 것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활옷을 만드는 사람과 이들의 노력에도 주목한다.
임금의 의복을 만들고 궁 안의 재물 등을 관리하던 상의원(尙衣院)과 이곳에서 일하던 장인이 어떻게 활옷을 만들었는지 과정을 찬찬히 짚는다.
소매 뒷면에 '홍장삼 수초 뎌동궁'이라는 글씨가 남아 있는 '덕온공주 홍장삼 자수본'은 옷감에 수놓을 도안과 완성된 활옷을 견줘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자료다.
전시장에는 치마, 저고리 등을 받쳐 입은 뒤 마지막 겉옷으로 활옷을 입는 과정을 담은 영상과 활옷 자수를 활용한 매체예술(미디어 아트)이 펼쳐져 관람객의 이해를 도울 예정이다.
박물관은 "평소 접근하기 어려웠던 전통 복식과 조선 왕실 여성들의 혼례 문화에 대해 한층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전시는 12월 13일까지.
[박스오피스] '잠' 손익분기점 넘어 100만 관객 돌파
유재선 감독의 스릴러 영화 '잠'이 지난 주말 100만 관객 돌파에 성공하며 극장가 알짜배기로 거듭나고 있다.
18일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잠'은 15∼17일 31만3천여 명을 동원해 박스오피스 정상에 올랐다.
매출액 점유율은 38.7%를 기록해 2위인 할리우드 추리극 '베니스 유령 살인사건'(11.0%·관객 수 8만9천여 명)을 큰 차이로 따돌렸다.
'잠'은 개봉 12일째인 전날에는 누적 관객 100만명을 넘겼다. 극장 매출액을 기준으로 이 영화의 손익분기점은 약 80만명이다.
유 감독의 첫 장편인 '잠'은 개봉 전 제76회 칸국제영화제 비평가주간 부문에 초청돼 주목받았다. 수면 중 기이한 행동을 하기 시작한 남편 현수(이선균 분)와 아내 수진(정유미)의 분투를 독특하고 스릴 있게 그렸다는 평가를 받았다.
크리스토퍼 놀런 감독의 '오펜하이머'는 '베니스 유령 살인사건'에 밀려 3위로 내려갔다.
7만1천여 명(8.7%)을 더해 누적 관객 수는 311만여 명이 됐다. 놀런 감독의 작품이 국내에서 300만 관객 이상을 동원한 것은 2014년 '인터스텔라' 이후 처음이다.
4위는 유해진·김희선의 로맨틱 코미디 '달짝지근해: 7510'으로 4만3천여 명(5.2%)을 극장으로 불러들였다.
이한 감독이 연출한 이 영화는 한 달 넘게 박스오피스 3∼4위를 지키며 꾸준히 관객을 모으는 중이다. 누적 관객 수는 133만여 명이다.
5위는 제프 로우 감독의 애니메이션 '닌자터틀: 뮤턴트 대소동'(4.9%·4만2천여 명), 6위는 엄태화 감독의 재난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3.5%·3만5천여 명)다.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누적 관객 수 380만여 명을 기록, 개봉 40일 만에 손익분기점을 넘겼다.
아이유의 콘서트 실황을 담은 영화 '아이유 콘서트 : 더 골든 아워'는 3만여 명을 모아 7위에 자리했다.
CGV에서 단독 개봉해 상영관 수가 제한적이었지만, 티켓 평균 가격이 높아 매출액 점유율은 8.8%를 기록했다. 이는 전체 개봉작 중 3위에 해당하는 수치다.
붉은 비단에 수놓은 원앙·꽃…RM이 보존 처리 도운 '활옷' 공개Copyright © 2023 MGM 마카오 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