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GM 마카오 카지노
BTS 뷔 "화려함 덜어내고 본연의 색 내려 노력했어요"
BTS 뷔 "화려함 덜어내고 본연의 색 내려 노력했어요"
"직항이 아니라도 차곡차곡 환승하면서 쉬어갔다가, 또 다른 음악으로 들어갔다가 하면서 제 마지막 목표를 향해 가고 싶습니다."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뷔는 8일 첫 공식 솔로 앨범 '레이오버'(Layover) 소개 영상에서 "소박하지만 진실한 마음을 담았다"며 이번 음반의 의미를 밝혔다.
그는 "처음 발표하는 솔로 앨범인 만큼 고민도 정말 많이 하고 새로운 모습을 보여드리겠다는 마음으로 열심히 준비했다"며 "원래 욕심이 없는 편인데 이번에는 욕심을 조금 냈다. 발성 연습도 처음부터 다시 하면서 깨달은 점도 많았다"고 했다.
뷔는 '레이오버'로 방탄소년단 일곱 멤버 가운데 마지막으로 솔로 데뷔를 장식했다. 이번 앨범에는 온전한 자기 모습을 담고자 노력했다고 한다.
그는 "이번 솔로 앨범 작업을 한마디로 하면 그냥 저를 찾아가는 과정"이라며 "'이런 모습도 있네'라고 할 만한 새로운 뷔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는 아무래도 무대 위에서는 되게 화려했지만, 이번에는 화려한 요소를 덜어내고 저라는 사람이 가진 본연의 색을 보여드리고자 많이 노력했어요. 제가 좋아하는 것, 그리고 잘하는 것 전부를 이번 앨범에 다 담았습니다."
'레이오버'에는 타이틀곡 '슬로우 댄싱'(Slow Dancing)을 비롯해 선공개곡 '레이니 데이즈'(Rainy Days)·'러브 미 어게인'(Love Me Again)에 '블루'(Blue)·'포 어스'(For Us)·'슬로우 댄싱' 피아노 버전까지 총 여섯 곡이 담겼다.
특히 뉴진스의 성공을 이끈 민희진 어도어 총괄 프로듀서가 전반적인 음반 제작에 관여해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뷔는 "같이 작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는데, 민희진 프로듀서와 호흡이 굉장히 잘 맞았다"며 "제 감성을 극대화해 줄 분을 찾고 있던 차에 민희진 프로듀서가 떠올라 연락을 먼저 드렸다. 결과적으로 무척 멋진 앨범이 나오게 됐다"고 만족스러워했다.
그는 이번 앨범 작업에서 적극적으로 의견도 내고, 민희진 프로듀서와 세심한 부분까지 조율하며 작업해 나갔다고 전했다.
뷔는 "저는 평상시에 말을 느리게 하는데, 그런 제 '느림'까지 이번 앨범의 특색으로 잘 잡아줬다"며 "그래서 제가 하고 싶은 음악이 나온 것 같다"고 되돌아봤다.
'레이오버' 앨범명은 직항이 아닌 경유를 뜻한다. 이번 앨범을 거쳐 가며 차근차근 자신의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자 하는 의지를 담아냈다고 한다.
타이틀곡 '슬로우 댄싱'에 대해선 "제목처럼 느긋한 기분으로 들으실 수 있는 곡"이라며 "이 곡을 듣는 순간만큼은 모두가 자유롭고 편안한 시간을 보냈으면 좋겠다"고 했다.
이어 뷔는 "'슬로우 댄싱'을 타이틀곡으로 고른 이유는 '아미'(방탄소년단 팬)들이 이 곡을 가장 좋아하실 것 같았기 때문"이라며 "보너스 트랙을 제외한 5개 트랙 모두 뮤직비디오를 제작했는데, 이런 경험은 처음이라 특별한 기억으로 남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저 스스로 편하고 자신 있는 앨범이다 보니 분명 여러분께도 그 울림이 전해지리라 믿습니다. 새로운 뷔를 보여드리기로 한 만큼 특별한 무대도 열심히 준비했으니 앞으로 공개된 다양한 활동을 기대해주세요."
'거미집' 송강호 "'이게 영화지' 내내 생각…소중함 되새겨"
"촬영하는 내내 영화의 소중함과 영화만이 가진 매력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됐습니다. '아, 그래. 이게 영화지!' 했지요."
오는 27일 개봉하는 김지운 감독의 '거미집'은 경력 33년의 배우 송강호에게 영화의 의미를 되새기게 한 작품으로 남았다.
그는 '거미집'에서 배우진과 스태프를 이끌고 촬영을 마친 영화를 다시 찍는 1970년대 영화감독 '김열'을 연기했다. 한 영화가 탄생하기까지 얼마나 지난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지, 얼마나 치열한 현장과 부담감을 이겨내야 하는지 연기를 통해 몸소 체험했다.
18일 서울 종로구 한 카페에서 만난 송강호는 "지금은 영화만이 가진, 영화의 맛이랄까하는 느낌을 받는 게 참 귀한 시대"라면서 "관객들이 이런 에너지를 반갑게 여기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영화에는 우리가 얘기하고자 하는 걸 효과적으로 담기 위해서 모든 것이 2시간가량에 함축되어야 하잖아요. 카타르시스와 희열도 꽉 차 있지요. 그것이 폭발했을 때 영화만이 가지는 힘이 분명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극장에 가지 않고도 볼 수 있는 콘텐츠가 참 많지만, 영화가 다시 관객과 극장에서 소통하고 같이 웃고 울고 감동하는 그 공간과 메커니즘 자체가 그리웠어요."
'거미집'은 송강호에게 이른바 한국 영화의 르네상스기인 2000년대 초반의 촬영 현장의 향수도 느끼게 했다.
한 공간에서 여러 배우와 대사를 주고받는 장면이 많은 데다 배우들 간 친목 역시 두터워서였다. 그가 김열 역을 소화하며 가장 중점을 둔 부분도 다른 배우와의 '리듬감'이었다고 한다.
"'반칙왕', '공동경비구역 JSA', '살인의 추억'을 찍던 20∼25년 전 생각이 많이 나더라고요. 쉬는 시간에 장영남 씨, 전여빈 씨랑 커피 마시면서도 그 얘기를 했어요. 배우들끼리 앙상블 맞춰가면서 열정적으로 촬영했던 그때의 느낌을 받았다고요. 아무래도 최근에는 저 혼자서 연기하거나 두 명이 얘기를 풀어나가는 작품을 많이 했으니까요."
송강호가 맡은 역할이 감독이다 보니 영화감독들이 현장 안팎에서 느끼는 마음도 이해할 수 있게 됐다고 한다.
극 중 김열은 제작자의 반대와 배우 스케줄 문제, 독재정권의 검열 등 장애물에도 영화 재촬영을 강행할 만큼 열정적인 인물이다. 걸작을 만들고자 하는 욕망이 꿈과 환영으로 나타날 만큼 예술가적 집착도 강하다. 하지만 그만큼 짊어져야 하는 책임감도 어마어마하다.
송강호는 "(연기를 통해) 감독이 쉬운 직업이나 자리는 아니라는 걸 깨달았다"며 "카메라 뒤에 그냥 앉아 있는, 편한 사람이 전혀 아니더라"고 강조했다.
"감독은 김열처럼 누구도 책임지지 못하는 고통 속에서 결정해야 하고 고뇌 속에서 창작 활동을 해야 하지요. 일개 배우가 감당할 몫이 아니구나, 어마어마한 세계구나 하는 걸 간접적으로나마 느꼈죠. 종종 저한테 연출할 생각이 없냐고들 물으시는데 저한텐 그런 재능과 열정이 없습니다. 배우만 하기도 벅차요. 하하."
그는 김열을 연기하면서 김지운 감독의 예전 모습이 떠올랐다고 한다. 두 사람은 '조용한 가족'(1997), '반칙왕'(2000),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2004), '밀정'(2016) 등 여러 작품을 함께했다.
"김열이 혼돈 속에서 마지막 장면을 찍을 때 모습을 '놈놈놈' 촬영 현장에서 봤어요. 중국 사막에서 100일간 머무를 때였는데, 내일 당장 한국으로 돌아와야 했거든요. 김지운 감독님이 다시 찍고 싶은 장면이 있고 시간은 제한돼 있어서 정말 광기의 도가니 속에서 촬영했어요. 그 모습이 오버랩되더라고요. 아마 모든 영화감독의 마음이 아닐까 해요."
송강호는 김 감독에 대해 "장르의 변주를 워낙 잘하시는 분"이라면서 "김지운 감독 영화에 참여하면 '이번에는 또 어떤 여행을 떠나게 될까'하는 설레는 기분이 들면서 '이번에는 또 얼마나 사람을 괴롭힐까' 두려운 마음도 든다"며 웃었다.
하지만 이런 새로움과 도전은 송강호가 작품을 고를 때 최우선으로 보는 요소다.
그는 "'거미집'을 선택한 건 관객들에게 한국 영화의 걸음이 고여있지 않고 한 발짝이라도 나아가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흥행에 실패할지언정 이런 시도들이 없다면 틀에 박힌 영화만 계속 반복해서 볼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고인 물이 되면 안 돼요. '거미집'은 그동안 못 봐오던 형식이지요. 익숙한 패턴의 영화들을 보신 관객이라면 좀 생소하고 파격적인 면도 있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영화로 봐주시면 즐겁게 분명 즐겁게 감상하실 거예요."
BTS 뷔 "화려함 덜어내고 본연의 색 내려 노력했어요"Copyright © 2023 MGM 마카오 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