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GM 마카오 카지노
日자니즈 창업자 성폭력에 소속 연예인 '불똥'…광고시장서 퇴출
日자니즈 창업자 성폭력에 소속 연예인 '불똥'…광고시장서 퇴출
경수현 특파원 = 일본의 유명 연예기획사 '자니즈 사무소' 일본 연예기획사 자니즈 사무소가 7일 기자회견을 열고 창업자에 의한 과거 연습생 등에 대한 성착취 사실을 인정했다. 책임을 지고 사임한 후지시마 주리 게이코(오른쪽) 전 사장과 아이돌 그룹 '소년대' 출신의 히가시야마 노리유키 신임 사장이 사과했다.
교도통신과 아사히신문 보도에 따르면 아사히 그룹은 8일 "자니즈 소속 연예인을 기용한 광고를 앞으로 전개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현재 맺고 있는 계약은 계약 기간 만료와 함께 해제하기로 했다.
아사히그룹 산하의 아사히 맥주는 현재 남성 아이돌 그룹 'V6'의 멤버 오카다 준이치를, 아사히음료는 그룹 '아라시'의 멤버 사쿠라이 쇼를 각각 광고 모델로 기용하고 있다.
앞서 일본항공(JAL)도 전날 자니즈 소속 연예인의 광고 기용을 "적절한 조치가 취해질 때까지 보류한다"고 밝혔다. 일본항공은 '아라시'를 광고모델로 투입해왔다.
또 '아라시' 멤버 아이바 마사키를 광고에 투입해온 손해보험사 도쿄해상일동화재보험도 "인권 존중의 관점에서 어떤 괴롭힘도 인정하지 않는다"며 계약 해제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체된 그룹 '스마프'의 멤버 출신으로 현재도 배우로 활발하게 활동하는 기무라 다쿠야를 TV 광고에 기용해온 닛산자동차는 계약 해제 여부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이번 사건은) 회사의 인권 존중 방침에 반하는 사안으로 매우 유감"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자니즈는 전날 기자회견을 열고 창업자 자니 기타가와가 과거에 다수의 남성 연습생 등을 대상으로 저지른 성폭력을 처음으로 공식 인정하고 사죄했다.
그러면서 창업자의 조카로 회사 경영을 이끌어온 후지시마 주리 게이코 씨가 책임을 지고 지난 5일부로 사장직에서 사임했으며 후임 사장은 3인조 아이돌 그룹 '소년대' 출신 연예인인 히가시야마 노리유키(東山紀之)가 맡았다고 밝혔다.
자니 기타가와는 1962년 자니즈를 설립해 '스마프'와 '아라시' 등 유명 아이돌 그룹을 여럿 키워냈다. 2019년 사망한 그는 자신의 절대적인 권위를 이용해 다수의 동성 아이돌 지망생을 상대로 성폭력을 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의 성폭력 문제는 이미 1999년 일본 주간지가 보도해 과거부터 공공연한 소문으로 떠돌았으나, 사망하기 전에는 큰 사회적 쟁점으로 번지지 않았다.
그러다 영국 공영방송 BBC가 올해 3월 '일본 J팝의 포식자'라는 다큐멘터리를 방영하면서 이 문제가 새롭게 주목받고 피해자들의 증언이 잇따르자 결국 자니즈가 외부 전문가로 조사단을 꾸렸고 이를 통해 '장기간에 걸쳐 광범위하게 성착취가 반복됐다는 사실이 인정된다'는 결론이 나왔다.
'1947 보스톤' 강제규 감독 "임시완 연기 보고 소름 돋았죠"
올해 추석 연휴에 개봉하는 강제규 감독의 신작 '1947 보스톤'에선 배우 임시완의 연기가 빛을 발한다.
이 영화는 1947년 미국 보스턴 마라톤대회에서 태극기를 가슴에 단 한국의 서윤복이 우승을 차지한 감동적인 실화를 스크린에 옮긴 작품이다. 서윤복 역을 맡은 임시완은 마라톤 선수의 표정과 동작 하나하나를 실감 나게 연기했다.
"제가 촬영하면서 (젊은 배우를 보고 속으로) '야, 요놈 봐라' 하면서 소름이 돋는 걸 느낀 건 처음이었던 것 같아요."
12일 서울 종로구의 한 카페에서 만난 강제규 감독은 촬영 현장에서 본 임시완의 연기를 이렇게 회고했다.
강 감독은 "(그때부터) 임시완이 (촬영장에) 나오는 날이 기다려졌다"며 "그가 나오면 에너지가 생겼다"고 말했다.
그는 "눈빛과 동작 하나를 봐도 불끈불끈 에너지가 생기고 너무 신선했다"며 "그렇다고 과하지도 않고 시대감 속에서 놀고 있는 듯 너무 자연스러웠다"고 돌아봤다.
강 감독은 "임시완에게 '네가 정말 서윤복이 돼야 관객들이 영화에 몰입할 수 있다', '우리 영화의 운명이 네 발에 달렸다'고 말하기도 했다"며 웃었다.
하정우는 일제 강점기인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금메달을 딴 손기정 역을 맡았다.
베를린 올림픽 때 일장기를 달고 시상대에 서야 했던 비운의 영웅 손기정은 서윤복의 감독이 돼 보스턴 마라톤대회에서 한을 푼다. 하정우는 이 영화의 이야기를 끌어가며 임시완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강 감독은 "시나리오를 보니 하정우가 바로 떠올랐다. 제일 먼저 캐스팅한 배우도 하정우였다"며 "성격으로 보나 외모로 보나 (손기정과) 닮은 점이 정말 많았다"고 말했다.
'1947 보스톤'에서 아쉬운 점은 서윤복의 코치인 남승룡 역의 배성우가 2020년 음주운전 물의를 빚은 사실이다. 이 영화의 촬영이 끝나 배성우가 등장하는 장면의 편집이나 재촬영이 불가능한 시점이었다.
강 감독은 당초 이 영화를 지난해 추석 연휴 때 개봉하려고 했지만 1년 미룬 것도 이 사건을 고려한 결정이었다며 "(당시 개봉은) 관객들에게 예의가 아닌 것 같았다. 조금 속이 쓰렸지만 좀 더 인고의 시간이 필요하지 않겠나 생각했다"고 털어놨다.
강 감독은 최초의 한국형 블록버스터로 통하는 '쉬리'(1999)와 한국 전쟁영화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천만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2004)로 관객들의 사랑을 받았다.
그가 스포츠를 본격적인 소재로 끌어와 영화를 연출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강 감독은 촬영 난도가 상당히 높은 액션을 담은 '쉬리'와 '태극기 휘날리며'의 연출 경험이 있어 마라톤 장면을 촬영하기는 상대적으로 수월할 거라고 생각했다며 "막상 찍어 보니 그렇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태극기 휘날리며'와 같은) 전투 장면을 촬영할 땐 세트장을 완전히 통제하면서 촬영할 수 있는데 마라톤은 도로를 차단하고 찍다 보니 시간에 대한 중압감이 컸다"고 회고했다. 당국이 허락한 시간 내 도로에서 촬영을 마쳐야 해 일분일초가 아까웠다는 것이다.
마라톤을 영화화하는 건 강 감독의 오랜 꿈이었다. 그는 대학 시절 육상을 다룬 영국 영화 '불의 전차'(1981)를 보고 감동이 컸다며 "달리기가 정말 매력이 있고 영화의 소재가 될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는 '1947 보스톤'에 대해서도 "스포츠맨이자 국가대표 선수가 정말 어떤 심정으로 달릴 수밖에 없었을까, 그 본심에 집중하려고 노력했다"고 강조했다.
강 감독은 한국 영화의 위기에 대해선 이렇게 말했다.
"관객들이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등을 보면서 극장에 안 간다고 하지만, 그렇진 않아요. 지금도 극장에 가는 관객은 가거든요. 다만 극장의 문턱이 좀 높아진 거죠. 이걸 넘어설 수 있도록 하는 영화를 우리가 만들어야겠죠. 영화인들의 숙제이고 과제인데, 지혜를 모아야 할 때인 것 같아요."
日자니즈 창업자 성폭력에 소속 연예인 '불똥'…광고시장서 퇴출Copyright © 2023 MGM 마카오 카지노